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hysical Chemistry
- 물리화학
- 대만
- quantum chemistry
- 유기화학
- 여행
- 양자화학
- Computational Chemistry
- Organic Chemistry
- 양자역학
- Chemistry
- Aromaticity
- 화학
- Gaussian
- travel
- 타이베이
- Today
- Total
목록Chemistry Project (47)
Daily Project

# Aromaticity? 유기화학을 공부하면 방향족성(芳香族性 , Aromaticity)이라는 단어를 접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벤젠(Benzene)은 방향족성을 가지고 있다는 식으로 말이죠. 방향족성은 "탄소화합물이 불포화 결합, 홀 전자쌍, 빈 오비탈 등에 의하여 완전히 Conjugate 된 평면 고리 모양으로 결합되었을 때, Conjugation에 의한 안정화 효과보다 더 큰 안정화 효과를 보이는 성질"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즉, Conjugation에 의한 안정화 효과가 평면 고리 모양으로 결합되어 있으면 크게 증폭된다는 의미입니다. # Approach to Aromaticity 방향족성을 나타내는 분자들 중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벤젠을 통해서 방향족성에 대해서 접근해봅시다. 방향족성에 ..

#Brønsted-Lowry Acids and Bases Brønsted-Lowry Acids는 proton donor입니다. 즉, 다른 분자에게 proton (H+)을 제공하는 분자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반대로 Brønsted-Lowry Bases는 proton acceptor로 다른 분자에게 proton (H+)를 받는 분자를 지칭합니다. 정의에 따라서 Brønsted-Lowry Acids는 proton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Brønsted-Lowry Bases는 proton과 결합을 형성할 수 있어야 됩니다. Figure 1에서 Brønsted-Lowry Acids는 proton을 Brønsted-Lowry Bases에게 제공하며, Brønsted-Lowry Bases는 Brønsted-Lowry ..

Resonance를 볼 수 있는 예시는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The Three Atom "Allyl" System, X=Y-Z* Allyl System에서는 X와 Y의 double bond에서 Y와 Z의 bond로 electron pair가 이동하면서 Resonance를 이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Figure 1에서 볼 수 있듯이 전하(Charge) 혹은 라디칼(Radical), 비공유 전자쌍(Lone pair)이 Z에서 X로 이동하게 됩니다. #Conjugated Double Bonds Conjugation이란 p orbital이 3개 또는 그 이상의 인접한 원자를 통해서 overlap 될 때 일어나는 것을 지칭합니다. 이러한 Conjugated Double Bonds들이 나타나면 일련의 ..

#What is Resonance ? 세상에는 다양한 분자들이 있고, 그 분자들의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어왔습니다. 그중 하나가 Lewis Structure입니다. 하지만 벤젠(Benzene)과 같은 분자처럼 하나의 Leiws Structure로 분자의 구조를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Figure 1 에서 두 개의 Lewis Sturcture은 같은 원자의 배열을 가지지만, 다른 전자의 배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요. 이러한 구조를 우리는 Resonance structures 또는 Resonance forms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두 개의 Resonance structure를 분리하기 위해서 Fig 1의 double-headed arrow를 사용합니..

# Formal Charge 형식전하(Formal Charge)는 루이스 구조에서 개별 원자에 할당되는 전하입니다. 이것은 개별 원자의 최외각 전자(Valence electron)들의 개수에서 개별 원자가 소유(own)하고 있는 전자의 개수를 뺀 것으로 정의됩니다. Formal Charge = Number of valence electrons - Number of electrons an atom "owns" 여기서 "원자가 소유하고 있는 전자의 수"라는 것은 원자의 고립 원자쌍(lone pair)과 결합(bond)의 개수로 결정이 됩니다. 즉, "공유하지 않는 전자"의 모든 개수와 "공유하는 전자"의 개수의 반의 합입니다. 예를 들면, A의 경우에는 탄소가 8개의 전자를 공유하고 있으므로, 탄소는 4개의..

이번에는 작용기(Functional Group)들과 관련되어서 반응성(Reactivity)을 살펴볼 것입니다! 모든 작용기들은 이종 원자(heteroatom)이나 π결합, 또는 두 개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분자에서 친전자 지역(electrophilic site)과 친핵 지역(nucleophilic site)을 만들어줍니다. 이러한 전자가 풍부한 지역(Electron-rich sites, nucleophiles)은 전자가 부족한 지역(electron-poor site, electrophiles)과 반응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분자의 반응성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작용기를 찾고 작용기가 만들어내는 reactive sites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N과 O과 같은 전기 음성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