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여행
- 물리화학
- 유기화학
- Gaussian
- Aromaticity
- 양자역학
- 대만
- 타이베이
- 화학
- quantum chemistry
- Computational Chemistry
- Organic Chemistry
- Chemistry
- 양자화학
- travel
- Physical Chemistry
- Today
- Total
Daily Project
[Physical Chemistry] 1차원 파동 방정식 (1D Wave Equation) 본문
[Physical Chemistry] 1차원 파동 방정식 (1D Wave Equation)
Jun_Hyeong 2020. 6. 28. 16:47
# 1D Wave Equation
일반적인 파동은 Equation (1)과 같이 표현됩니다. 이때, 위치 x 및 시간 t에서의 진동의 진폭이 u(x, t)입니다.
이 Equation의 Motion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것입니다.
일반적인 파동의 운동 방정식을 풀기 위해 "변수 분리"를 이용해봅시다. u(x, t)에서 x와 t는 서로 독립변수이기 때문에 아래의 Equation (3)처럼 표현될 수 있는 것입니다.
Equation (3)를 Equation (2)에 대입을 하게 되면,
Equation (5)를 통해서 X(x)와 T(t)에 대한 식으로 정리하면 Equation (6)과 Equation (7)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Equation (5)에 접근하기 위해서 우리는 3가지 가능성을 고려해봅시다. K가 양수이거나 혹은 홀수, 또는 0 일 때를 나눠볼 것입니다.
1. K=0
K가 0이라면 Equation (5)는 Equation (8)처럼 표현될 수 있습니다. 2
그러므로 X(x)와 T(t)는
정상파(Standing Wave)의 경계조건(Boundary Condition)은 u(0,t)=u(l,t)=0을 Equation (9)와 (10)에 대입하면, 3
라는 물리적인 의미가 없는 trivial solution이 나오게 됩니다. 4
2. K>0
그렇다면 K가 양수일 때는 어떨까요? K가 양수이기 때문에
라고 두고 시작합니다.
그렇다면 Equation (6)은
이 됩니다.
Equation (12)를 풀기 위해서 X(x)가
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고 추측해봅시다.
Equation (13)을 Equation (12)에 대입하게 되면,
즉,
이라는 결과가 나오게 되고, X(x)는
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X(x)의 경계조건은
으로 Equation (15)를 통해서
을 얻을 수 있습니다.
K=0과 마찬가지로 trivial solution이 결과로 나오게 됩니다.
3. K<0
K>0일 때처럼 K가 음수이므로
라고 두고 시작합니다.
Equation (19)를 풀기 위해서
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고 추측해봅시다.
Equation (20)을 Equation (19)에 대입하게 되면,
즉,
이라는 결과가 나오게 되고, X(x)는
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X(x)의 경계조건은
으로 Equation (23)을 통해서
을 얻을 수 있습니다. Equation (26)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6 7
이므로
비슷하게 T(t)는
처럼 구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시간 영역(Time domain)에는 경계 조건이 없으므로 cos과 sin항이 모두 0이 아닌 기여를 가지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파동 방정식이 선형 미분 방정식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solution은 각 solution의 선형 조합으로 구해질 수 있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u(x, t)는 Equation (29)와 같이 표현될 수 있습니다.
'Chemistry Project > Physical Chemist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ysical Chemistry] 슈뢰딩거 방정식 (The Schrödinger Equation) (0) | 2020.06.29 |
---|---|
[Physical Chemistry] 보어-드 브로이 모델 (Bohr-de Broglie's Model) (0) | 2020.06.29 |
[Physical Chemistry] 드 브로이의 물질파 (de Broglie's Matter Wave) (0) | 2020.06.29 |
[Physical Chemistry] 플랑크의 양자 가설 (Planck's Quantum Hypothesis) (0) | 2020.06.29 |
[Physical Chemistry] 고전역학적으로 설명이 불가능한 실험 (Puzzling Experiments) (0) | 2020.06.28 |